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근로장려금 신청방법 5분 만에 끝내는 최신 가이드

by 에디슬라 2025. 5. 14.

열심히 일한 당신 꼭 챙기세요!!

일은 열심히 하는데 생활은 여전히 빠듯하신가요? 국가에서 월급을 최대 330만원까지 보태드립니다. 2025년 근로장려금은 맞벌이 가구 소득기준이 4,400만원으로 대폭 상향되어 더 많은 가구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올해 6만 가구가 새롭게 대상자로 추가되었으니, 나도 받을 수 있는지 꼭 확인해보세요. 단 5분 만에 신청 가능한 근로장려금, 모든 신청 방법과 조건을 완벽하게 정리했습니다.

근로장려금이란?

근로장려금은 일은 하지만 소득이 적어 생활이 어려운 근로자, 사업자(전문직 제외) 가구에 국가가 현금으로 직접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일하는 가구의 근로 의욕을 높이고 소득을 보전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세금 환급 형태로 지급됩니다.

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 대상은 2024년에 근로·사업·종교인 소득이 있는 340만 가구로, 가구당 평균 110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올해부터는 맞벌이 가구의 소득기준이 3,800만원에서 4,400만원 미만으로 완화되어 혜택의 폭이 크게 넓어졌습니다.

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 조건

아래 세 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근로장려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1. 소득 요건

가구 유형 총소득 기준금액 최대 지급액
단독가구 2,200만원 미만 165만원
홑벌이가구 3,200만원 미만 285만원
맞벌이가구 4,400만원 미만 330만원

2. 재산 요건

2024년 6월 1일 기준, 가구원 전체의 재산 합계액이 2억 4천만원 미만이어야 합니다. 재산이 1억 4천만원 이상 2억원 미만인 경우는 장려금의 50%만 지급됩니다.

3. 가구 요건

  • 단독가구: 배우자, 부양자녀(18세 미만),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모두 없는 가구
  • 홑벌이가구: 배우자 또는 부양자녀 또는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있는 가구(배우자가 있는 경우 배우자의 총급여액 등이 3백만원 미만)
  • 맞벌이가구: 신청인과 배우자 각각의 총급여액 등이 3백만원 이상인 가구

신청 제외 대상

위 조건을 모두 충족하더라도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 근로장려금을 신청할 수 없습니다:

  • 2024년 12월 31일 기준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하지 않은 자 (단, 한국인과 혼인했거나 한국 국적의 부양자녀가 있으면 신청 가능)
  • 2024년 중 다른 거주자의 부양자녀인 자
  • 전문직 사업을 영위하는 자(변호사, 의사, 회계사 등)와 그 배우자
  • 2024년 12월 31일 현재 계속 근무 중인 상용근로자 중 월평균 근로소득이 500만원 이상인 자와 그 배우자 (근로장려금만 해당)

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 기간

구분 신청 기간 대상
정기 신청 5월 1일 ~ 6월 2일 근로·사업·종교인 소득자
반기 신청
(상반기분)
9월 1일 ~ 9월 15일 근로소득자만 해당
반기 신청
(하반기분)
3월 1일 ~ 3월 15일 근로소득자만 해당
기한 후 신청 6월 3일 ~ 11월 30일 정기 신청 기간을 놓친 경우
(지급액의 95% 지급)

정기 신청이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며, 반기 신청은 근로소득자에 한하여 당해연도의 소득을 기준으로 근로장려금을 나누어 받는 방식입니다. 반기 신청을 한 경우에는 정기 신청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근로장려금 신청 방법

1. 안내문을 받은 경우 (가장 간편한 방법)

  • 모바일 안내문(국민비서, 네이버 전자문서, KT 알림문자)을 받은 경우: 안내문에서 바로 신청 가능
  • ARS 전화: 1544-9944에 전화 → 장려금 1번 → 주민등록번호 13자리# → 개별인증번호(8자리)*# → 1번 선택
  • 홈택스 앱(손택스): 앱 설치 → 근로·자녀장려금 신청 → 주민번호와 개별인증번호 입력 → 신청하기
  • 홈택스 PC: 로그인 → 신청·제출 → 근로·자녀장려금 신청하기 → 간편신청

2. 안내문을 받지 못한 경우

  • 홈택스 앱(손택스): 로그인 → 장려금·연말정산·전자기부금 → 근로장려금 정기/반기 신청 → 직접입력신청
  • 홈택스 PC: 로그인 → 장려금·연말정산·전자기부금 → 근로장려금 정기/반기 신청 → 직접입력신청
  • 서면 신청: 세무서에 방문하여 근로장려금 신청서 제출

3. 신청 대리 서비스 이용

스스로 신청하기 어려운 경우, 장려금 상담센터(1566-3636)로 전화하여 신청 대리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평일 9시~18시에 운영됩니다.

근로장려금 계산 방법 및 실제 사례

근로장려금은 가구 유형과 소득에 따라 지급액이 달라집니다. 총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장려금이 증가하다가 일정 소득 이상에서는 점차 감소하는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사례 1: 단독가구 근로자

A씨는 혼자 살고 있는 단독가구로, 작년 연간 근로소득이 800만원입니다. A씨의 근로장려금은 단독가구 최대 지급액인 165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례 2: 홑벌이가구 근로자

B씨는 작년에 근로소득으로 1,200만원을 벌었고, 배우자는 100만원을 벌었습니다. 배우자 소득이 300만원 미만이므로 홑벌이 가구에 해당하며, 총 급여액 1,300만원 기준으로 260만원의 근로장려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례 3: 사업소득자 + 자녀장려금

음식점을 운영하는 C씨는 작년 사업소득 수입금액이 3,000만원이고, 배우자의 근로소득은 200만원입니다. 18세 미만 부양자녀 2명이 있습니다. 사업소득에 음식업 조정률 45%를 적용하고 배우자 소득을 더하면 총 수입금액은 1,550만원이 되어, 근로장려금 235만원과 자녀장려금 140만원까지 합쳐서 총 375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례 4: 재산 요건 감액

D씨의 총급여액은 2,900만원이고 근로장려금 산정액은 110만원입니다. 그러나 재산 합계액이 1억 5천만원으로 1억 4천만원을 초과하므로, 근로장려금은 50% 감액된 55만원을 받게 됩니다.

근로장려금 신청 시 유의사항

  • 본인이나 배우자가 종합소득세 확정신고 의무가 있는 경우, 반드시 확정신고를 해야 장려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신청안내문을 받지 못했더라도 소득·재산 요건을 충족하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기한후 신청(6월 3일~11월 30일)을 하면 5% 감액된 금액을 지급받습니다.
  • 반기 신청 시 근로장려금 산정액의 35%를 먼저 지급받고, 다음 연도에 정산합니다.
  • 체납 세액이 있는 경우, 지급액의 30% 한도 내에서 체납액으로 충당됩니다.
  • 부정한 방법으로 근로장려금을 받은 경우, 전액 환수되고 향후 2~5년간 신청이 제한됩니다.

근로장려금 지급 시기

구분 지급 시기
정기 신청 9월 말까지 지급
반기 신청
(상반기분)
12월 말 지급
반기 신청
(하반기분)
6월 말 지급 및 정산
기한 후 신청 신청일로부터 4개월 이내 지급

2025년 정기분 지급은 8월 29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계좌이체로 신청한 경우 선택한 은행에 따라 새벽 시간대부터 입금이 시작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을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네, 조건을 모두 충족한다면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을 동시에 받을 수 있습니다. 자녀장려금은 총소득이 7,000만원 미만이며 18세 미만의 자녀가 있는 경우 신청 가능합니다.

Q2: 실업급여를 받고 있는데 근로장려금도 받을 수 있나요?

실업급여와 근로장려금은 중복 수급이 가능합니다. 다만, 실업급여는 근로장려금 산정 시 총소득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Q3: 작년에 사업을 폐업했는데도 신청할 수 있나요?

네, 현재 사업을 하고 있지 않더라도 작년 기준으로 소득·재산 요건을 충족한다면 신청 가능합니다.

Q4: 근로장려금 신청 자격을 미리 확인할 수 있나요?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의 '장려금 미리보기' 서비스에서 신청 자격을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힘들지만, 그래도 살만합니다!!

올해 근로장려금은 맞벌이 가구 기준 소득이 4,400만원으로 확대되어 더 많은 가정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단독가구 최대 165만원, 홑벌이가구 최대 285만원, 맞벌이가구 최대 33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 놓치지 마세요. 5월 1일부터 6월 2일까지 진행되는 정기신청 기간에 꼭 신청하시고, 계속해서 일하는 보람과 함께 든든한 경제적 지원도 받으시길 바랍니다. 국가에서 제공하는 이 혜택을 잊지 말고 챙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