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져녀를 계획하시고 실행하신 부모님들은 정말 대한민국의 애국자입니다.
정부도 이런 분들에게 혜택을 주시고자,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저는 딸만 둘입니다. 아들이 하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긴했지만, 이제는 늦었네요^^
아이를 키우는 일은 기쁨이지만 경제적 부담도 만만치 않습니다. 특히 다자녀 가정이라면 교육비, 생활비, 주거비 등 여러모로 지출이 늘어나기 마련이죠. 이에 정부는 저출생 극복과 다자녀 가정 지원을 위해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특히 셋째 자녀부터는 더욱 특별한 지원금과 혜택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2025년부터는 기존 3자녀 기준이 2자녀로 완화되면서 더 많은 가정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놓치기 쉬운 다자녀 혜택, 오늘은 특별히 셋째부터 달라지는 지원 내용을 총정리해 드립니다.

다자녀 가구 기준, 2025년엔 이렇게 달라집니다
다자녀 가구 기준이 크게 완화되었습니다. 원래 대부분의 다자녀 혜택은 '3명 이상의 자녀를 둔 가구'에 해당했지만, 저출생 현상이 심화되면서 많은 정책들이 '2명 이상의 자녀를 둔 가구'로 기준을 완화하고 있습니다.
다만, 지원 정책별로 다자녀 가구 인정 기준이 다를 수 있으니, 각 혜택의 요건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셋째 자녀부터는 여전히 상당수의 특별 지원이 제공되고 있으니 참고하세요.
셋째부터 달라지는 교육 지원 혜택
교육 분야는 셋째 자녀부터 특별한 지원이 두드러집니다. 특히 대학교육비 부담을 크게 줄여주는 혜택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대학 등록금 특별 지원
2025년부터 대학생 국가장학금 수혜 대상이 확대되어 소득구간 1~9구간까지 지원됩니다. 특히 다자녀 가구의 경우 추가 혜택이 있는데, 셋째 이상 자녀에 대해서는 더 큰 지원이 이루어집니다.
소득구간 | 첫째·둘째 지원금 | 셋째 이상 지원금 |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 등록금 전액 | 등록금 전액 |
1~3구간 | 연 570만원 | 등록금 전액 |
4~6구간 | 연 480만원 | 등록금 전액 |
7~8구간 | 연 450만원 | 등록금 전액 |
9구간 | 연 135만원 | 연 200만원 |
또한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셋째 이상 다자녀 가정에 100만원 범위 내에서 대학등록금을 추가로 지원하고 있으니 거주 지역의 지원 제도도 확인해 보세요.
다자녀 가구 세제 혜택과 자동차 관련 지원
자녀 수에 따른 세액공제 혜택
종합소득세 신고 시 자녀 수에 따라 세액공제 혜택이 달라집니다. 특히 셋째 자녀부터는 공제액이 크게 늘어납니다.
- 자녀 1명: 연 15만원 공제
- 자녀 2명: 연 35만원 공제
- 자녀 3명 이상: 35만원 + 2명 초과하는 1명당 30만원씩 추가 공제
또한 출산 또는 입양 시 추가 공제도 가능합니다:
- 첫째: 연 30만원
- 둘째: 연 50만원
- 셋째 이상: 연 70만원
자동차 취득세 감면 혜택
2025년부터 다자녀 기준이 완화되어 자동차 취득세 감면 혜택이 확대됩니다.
단, 다자녀 양육자 중 1명 이상이 이미 감면받은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거나 배우자 및 자녀 외의 사람과 공동등록하는 경우에는 감면받을 수 없습니다.
생활 및 교통 관련 특별 혜택
공과금 및 생활비 지원
다자녀 가구는 다양한 공과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3자녀 이상 가구는 더욱 큰 혜택이 있습니다.
- 전기요금: 3자녀 이상 가구는 월 전기요금의 30%(최대 1만 6천원 한도) 감면
- 가스요금: 3자녀 이상 가구는 동절기(12~3월) 월 1만 8천원, 그 외 기간 월 2,470원 한도 감면
- 지역난방: 3자녀 이상 가구는 월 4천원(연간 4만 8천원) 지원
- 수도요금: 다자녀 가구는 가정용 수도 최대 10톤에 해당하는 요금 감면
대중교통 K-패스 특별 할인
2025년부터 K-패스를 이용하는 다자녀 가족에 대한 환급 혜택이 확대됩니다.
구분 | 기존 할인율 | 2025년 할인율 |
---|---|---|
일반 | 20% | 20% |
2자녀 가구 | 20% | 30% |
3자녀 이상 가구 | 20% | 50% |
예를 들어, 월 6만원의 교통비를 사용하는 3자녀 가구의 부모라면 기존에는 1.2만원을 환급받았지만, 2025년부터는 3만원을 환급받을 수 있게 됩니다.
전기차 구매 추가 보조금
다자녀 가구의 전기차 구매 보조금도 2025년부터 확대됩니다. 자녀 수에 따라 차등 지원됩니다.
- 2자녀 가구: 추가 100만원
- 3자녀 가구: 추가 200만원
- 4자녀 이상 가구: 추가 300만원
첫만남 이용권 및 출산 관련 추가 지원
출산 시 지원되는 첫만남 이용권은 2024년부터 둘째 자녀 이상인 경우 지원 금액이 더욱 늘어났습니다.
- 첫째 자녀: 200만원
- 둘째 자녀부터: 300만원
- 쌍둥이의 경우: 첫째 200만원 + 둘째 300만원 = 총 500만원
첫만남 이용권은 국민행복카드로 지급되며, 출산 후 1년까지 산후조리원,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 쇼핑 등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확대
임신·출산 관련 진료비 지원도 확대되어 기존 단태아 100만원, 다태아 140만원에서 태아당 100만원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쌍둥이의 경우 2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다자녀 혜택 Q&A
Q: 다자녀 혜택을 받으려면 어디서 신청해야 하나요?
A: 대부분의 혜택은 정부24 웹사이트(www.gov.kr)나 보조금24 서비스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일부 혜택은 주민센터를 방문하거나 해당 기관의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대학등록금 지원 같은 교육 관련 혜택은 한국장학재단 웹사이트(www.kosaf.go.kr)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Q: 다자녀 가구 기준이 2자녀로 완화된 혜택과 여전히 3자녀 이상만 해당하는 혜택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나요?
A: 각 혜택별로 기준이 다르므로 신청 전 반드시 해당 혜택의 지원 대상을 확인해야 합니다. 자동차 취득세는 2자녀부터 혜택이 있지만 지원 금액이 다르고, 일부 공과금 감면은 여전히 3자녀 이상만 해당합니다. 정부24나 해당 기관 홈페이지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
Q: 다자녀 국가장학금은 신청 시기가 따로 있나요?
A: 네, 2025년 1학기 기준으로 1차 신청은 2024년 11월~12월, 2차 신청은 2025년 2월 4일~3월 18일입니다. 신청 기간을 놓치지 않도록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일정을 미리 확인하세요.